2025/2026 세종대 정시등급컷, 정시모집 정보
- 대학입시 관련
- 2025. 11. 12. 15:31
2026학년도 세종대학교 정시모집요강과 2025학년도 정시 등급컷을 정리했습니다. 가·나·다군별 모집인원, 수능 반영비율, 주요 학과 합격선, 경쟁률, 전형별 전략까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세종대학교는 AI융합, 반도체, 관광경영 등 특성화된 전공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인서울 중상위권 대학입니다. 2026학년도 정시모집은 수능 100% 전형 중심으로 운영되며, 인문·자연·창의소프트학부 등 전 계열에서 세부 반영 비율이 달라졌습니다. 특히 수학(미적분·기하) 선택자에게 가산점이 주어지고, 탐구는 상위 1과목만 반영하는 등 ‘점수 효율형 구조’로 개편되었습니다. 2025학년도 정시결과를 기준으로 계열별 70%컷을 함께 살펴보며, 2026학년도 지원전략까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6 세종대 정시모집요강
세종대학교는 1940년 경성인문학원으로 출발해 1978년 세종대학, 1987년 세종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며 현재의 종합대학 체계를 갖춘 대학입니다. 인문, 사회, 공학, 예체능을 아우르는 균형 잡힌 교육 기반 위에 ‘AI·콘텐츠 융합’과 ‘호텔관광·공학 집중 육성’을 핵심 전략으로 삼고 있습니다. 2025년 QS 세계대학순위 396위, THE 세계대학순위 국내 7위권, 세계 201~250위권에 올랐으며, 2024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는 국내 17위로 평가되었습니다. 강세 학과는 호텔관광외식경영, AI로봇공학, 반도체시스템, 정보보호, 생명시스템 등이 대표적입니다. 기업 선호도와 사회적 평판은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며 수험생 인기도 또한 높은 편입니다. 2025학년도 정시모집 경쟁률은 평균 6.19대 1로 나타났으며, 영화예술학과가 82.57대 1로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전체 취업률은 65% 내외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6학년도 세종대학교 정시모집은 수능 100% 전형 중심으로 운영되는 전형입니다. 인문·자연·창의소프트학부는 수능 성적만으로 선발하며, 예체능계열(회화·패션디자인·음악·체육·무용·영화예술학과)은 **수능 50% + 실기 30% + 학생부 20%**를 반영합니다. 국방계열(해군·해병대·공군·육군)은 1단계 수능 100% 후 2단계 면접 및 체력검정 20%를 합산하는 다단계 전형으로 진행됩니다. 수능 성적은 표준점수 기준으로 반영하며, 탐구영역은 2과목 중 상위 1과목만 반영합니다. 인문계열은 국어 35%, 수학(확률과 통계) 30%, 영어 20%, 탐구 15%를 반영하고, 자연계열은 국어 25%, 수학(미적분·기하) 35%, 영어 20%, 과탐 20%의 비율로 산출합니다. 또한 수학(미적·기하) 선택자는 10%, 과탐 응시자는 5~10%의 가산점을 부여받습니다. 영어영역은 1등급 100점, 2등급 98점, 3등급 95점, 4등급 90점으로 등급별 차등 점수로 환산되며, 한국사는 필수 응시 과목으로 감점 방식이 적용됩니다. 모집군은 가·나·다군으로 구분되며, 일반학생전형은 871명, 자유전공학부 40명, 예체능계열 93명, 특성화고교졸업자 38명, 농어촌특별전형 101명을 선발합니다. 원서접수는 2025년 12월 29일부터 31일까지이며, 1단계 합격자 발표는 2026년 1월 5일, 면접 및 체력검정은 1월 10일 전후, 최종 합격자는 1월 20일경 발표 예정입니다. 모든 전형은 세종대학교 입학처 홈페이지를 통한 인터넷 접수만 가능합니다.


2025 세종대 정시등급컷
세종대학교 2025학년도 정시 최종등록자 전체 평균은 70%컷 기준 대학 자체 환산점수 702점대 입니다. 인문계는 690점대 초중반, 자연계는 710점대 초중반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학과별로 690~725점 구간에 집중되었습니다. 수학 선택은 계열별로 뚜렷하게 구분되어 인문은 확통 중심, 자연은 미적분 중심으로 분포했습니다. 상위권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영어 2등급 이내, 한국사 1등급 비율이 높았습니다.
주요 학과 대학자체 환산점수 70% 컷입니다. 인문계열의 최종등록자 평균 표준점수는 약 691점입니다. 상위 학과들은 대부분 690점대를 형성했습니다. 호텔관광외식경영학부 694.02, 다음으로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696.36, 경제학과 693.79, 법학과 692.63, 행정학과 692.34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어 인문사회계열 689.54, 경영학부 687.84, 국제학부 687.91, 국어국문학과 689.85, 교육학과 700.42가 뒤를 이었습니다. 인문계열의 전체 평균은 표준점수 691점, 백분위 89~92 수준이며, 수학 선택 비율은 확률과통계 70%, 미적분 30%로 구성되었습니다. 영어는 1~3등급이 다수를 차지했고, 한국사는 1~2등급이 주류였습니다. 자연계열의 평균 표준점수는 약 714점으로 인문계보다 약 23점 높게 형성되었습니다. 가장 높은 학과는 물리천문학과 725.10, 다음은 생명시스템학부 719.38, 수학통계학과 718.51, 기계공학과 717.33, 정보보호학과 716.69, 나노신소재공학과 713.61, 건축학과 712.98, 자연생명계열 710.52, 반도체시스템공학과 709.98, 컴퓨터공학과 708.29 순이었습니다. 자연계열 전체 평균은 표준점수 714점, 백분위 92~95 수준이며, 수학 선택 비율은 미적분 95%, 기하 3%, 확률과통계 2%였습니다. 영어는 대부분 1~2등급, 한국사는 1등급이 많았습니다.


2025학년도 세종대학교 정시모집은 가·나·다군에서 총 1,100여 명을 선발했으며, 전체 평균 경쟁률은 6.19대 1로 나타났습니다. 인문계열의 평균 합격선은 표준점수 691점(백분위 89~92), 자연계열은 714점(백분위 92~95) 수준이었습니다. 인문계 상위 학과는 호텔관광외식경영학부 694점, 경제학과 693점, 법학과 692점, 행정학과 692점 순으로 형성되었고, 자연계는 물리천문학과 725점, 생명시스템학부 719점, 수학통계학과 718점, 기계공학과 717점, 정보보호학과 716점 등 고득점대에 몰렸습니다. 특히 AI·로봇·반도체·정보보호 계열은 미적분 응시 비율이 95%를 넘는 등 수학 영역 선택이 합격의 핵심 변수로 작용했습니다. 영어는 인문·자연계 모두 2등급 내외가 주류였으며, 한국사는 1등급 비율이 높았습니다.

세종대학교는 ‘AI·공학 중심 융합대학’으로 빠르게 변모하며, 산업 수요에 부합하는 전공 중심 체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6학년도 입시는 전체 모집인원이 871명으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하지만, AI·공학·반도체 관련 전공의 선호도가 더욱 높아질 전망입니다.따라서 수학(미적분, 기하) 중심의 고난도 대비와 과탐 고득점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인문계는 여전히 관광·경영·미디어 중심의 취업 강세가 지속되며, 수학과 탐구의 안정적인 조합이 중요합니다. 전체적으로 세종대는 기업 선호도, 사회적 평판, 수험생 인기도가 모두 상승세에 있으며, 서울권 실용 중심대학 중 중상위권 이상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 2026학년도에는 AI융합, 반도체, 정보보호 계열 중심의 경쟁 심화가 예상되므로, 수학과 과탐 중심의 ‘핵심 점수 확보 전략’이 합격의 관건이 될 것입니다.
'대학입시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2026 숭실대 정시등급컷, 정시모집 정보 (0) | 2025.11.11 |
|---|---|
| 2025/2026 국민대 정시등급컷, 정시모집 정보 (0) | 2025.11.09 |
| 2025/2026 숙명여대 정시등급컷, 정시모집 정보 (0) | 2025.11.02 |
| 고교학점제란? 구조, 운영방식 (0) | 2025.10.13 |
| 2025/2026 이화여대 정시 등급컷, 정시모집 정보 (0) | 2025.10.11 |
이 글을 공유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