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2026 한국외국어대 정시 등급컷, 정시모집 정보
- 대학입시 관련
- 2025. 9. 25. 11:26
2025학년도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정시모집 결과와 2026학년도 입시 전략을 종합 정리했습니다. 어학·사회과학·경영·AI융합 계열 지원을 준비하는 수험생에게 필요한 백분위, 정시 등급, 전형 전략과 공부 팁을 담았습니다.
한국외국어대학교((대학 바로가기)는 1954년 설립된 국내 대표 어학·국제전문 특성화 대학으로, 서울캠퍼스를 중심으로 글로벌 리더 양성을 목표로 꾸준히 성장해왔습니다. 초기에는 외국어와 통번역 중심의 교육으로 출발했지만, 현재는 정치외교, 국제통상, 사회과학, 인공지능 융합 등으로 학문적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세계 대학 평가에서도 좋은 성과를 보였습니다. 2025 QS 세계대학순위 651~660위권에 이름을 올렸으며, THE 세계대학평가에서도 인문·사회 분야 강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2024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종합 18위를 차지하며 국내 상위권 대학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사회적 평판도와 기업 선호도도 높습니다. 외국어 능력과 국제화 교육을 강점으로 내세워 다국적 기업, 국제기구, 공공기관 취업에서 높은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어학 특성화 대학으로 잘 알려진 외대는 최근 사회과학, 경영, AI융합 계열까지 강세를 보이며 선택지가 더욱 넓어졌습니다. 2026학년도 한국외국어대 정시모집 지원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을 위해 전형 결과와 전략, 지원 팁을 종합 정리했습니다.
2026 한국외국어대 정시모집 요강 정리
한국외대 서울캠퍼스 정시모집은 수능 100% 전형으로 진행되며, 국어·수학·탐구의 반영 비율이 계열에 따라 다르게 책정됩니다. 인문·어학계열은 국어 30%, 수학 30%, 탐구 30%이며, 영어와 한국사는 가산점과 감점 방식으로 반영됩니다. 사회과학·경영계열은 국어 30%, 수학 35%, 탐구 30%로 수학 비중이 높아 합격의 핵심 요소가 됩니다. 자연계열인 Language & AI융합학부는 수학 35%, 탐구 30%로 사실상 이과형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영어는 절대평가 방식으로 1등급 140점, 2등급 136점으로 실질 변별력이 존재하며, 한국사는 감점제로 3등급 이내 확보가 안정적입니다. 모집군은 가·나·다군으로 나뉘며, 학과별 모집인원과 경쟁률 차이가 크기 때문에 수험생은 강점 과목과 계열별 특성을 고려한 전략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서울캠퍼스 모집인원(일반전형 기준)은 총 1,774명(수시 미충원 포함 전환 예정)이며, 전형 일정은 원서접수 2025.12.29.(월) 10:00 ~ 12.31.(수) 17:00, 서류제출 2025.12.29.(월) ~ 2026.1.2.(금), 최초 합격자 발표 2026.1.26.(월) 14:00,최초 등록 2026.2.3.(화) ~ 2.5.(목)순으로 진행 예정입니다.
전형 요소 반영 비율은 일반전형 수능 100% (총점 700점 만점), 모집단위별 수능 영역 반영 비율 (%)은 어학계열 (영어대학, 서양어대학, 아시아언어문화대학, 중국학대학, 일본학대학, 사범대학, 자유전공학부),국어 30% (210점),수학 30% (210점),영어 20% (140점),탐구 20% (140점),사회과학·상경·경영·국제학부·ELLT학과·Social Science & AI융합학부 국어 30% (210점),수학 35% (245점),영어 15% (105점),탐구 20% (140점),자연계열 (Language & AI융합학부)국어 20% (140점),수학 35% (245점),영어 15% (105점),탐구 30% (210점)입니다. 수학은 선택과목에 따른 가산점은 없으며, 반영 비율 차등 적용합니다. 탐구는 2과목 평균 반영입니다. 영어 반영 방법 (등급별 환산 점수)은 1등급 140점,2등급 136점,3등급 132점,4등급 128점,5등급 이하부터는 4점씩 감점 적용입니다.
2025학년도 한국외국어대 서울캠퍼스 정시 등급컷
2025학년도 한국외대 서울캠퍼스 정시는 수능 성적만으로 선발되었으며, 계열별로 합격선의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외대 서울캠퍼스 주요 학과 국수탐 백분위 70%컷입니다. Language & Trade학부 88.1, Language & Diplomacy학부 88.1, 외국어교육학부(프랑스어교육전공) 87.3, Social Science & AI융합학부 87.3,특수외국어(인도‧아세안지역)계열 87.7,국제학부 86.8,일본언어문화학부 86.9,포르투갈어과 86.8,중국언어문화학부 86.7,ELLT학과 86.7,베트남어과 86.5,영어대학[통합모집] 86.4,한국어교육과 86.1,행정 86.1,정치외교 86.0, 영어교육과 85.6,아랍어과 85.6입니다.
전체 학과 평균은 백분위 85.8점대입니다. 상위 학과는 86~88점대, 중위권 학과는 83~85점대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정시 등급으로는 상위 학과는 1~2등급 초반대, 중하위 학과는 2등급 후반~3등급대입니다. 서울캠퍼스는 1등급대로 분류됩니다.
어학계열 지원자는 국어(30%)와 영어 영향력이 절대적입니다. 수학 반영 비중은 낮아 국어·영어 고득점자에게 유리합니다. 영어는 2등급과 1등급 차이가 커 반드시 2등급 이내 확보가 필요합니다. 사회과학·경영계열은 국어(30%) + 수학(35%) 합산 비중이 높아 수학 실력이 합격을 좌우합니다. 탐구(30%)는 보조적 역할을 하며, 고른 성취가 필요합니다. 영어는 절대평가지만 실질 변별력이 큽니다. 2등급 이내 확보가 필요하며, 한국사는 감점제이므로 3등급 이내 유지가 안정적입니다.
외대 서울캠퍼스 정시는 계열별 강점과 수능 영역 특성에 따라 합격 가능성이 크게 달라집니다. 어학계열은 국어·영어에 강한 수험생, 사회·경영계열은 수학 고득점자, 자연계열은 수학·탐구 최상위권자에게 유리합니다. 2026학년도에는 AI융합, 경영, 국제통상학부처럼 취업 연계성과 글로벌 경쟁력이 높은 학과들의 인기가 더 상승할 가능성이 큽니다. 반대로 일부 소규모 어학과는 지원자가 분산될 수 있어 전략적 지원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수험생은 합격선만이 아니라 학문적 적성과 졸업 후 진로까지 고려한 학과 선택이 필요합니다. 또한 모의고사 결과를 꾸준히 분석하며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끝까지 자신감을 잃지 않고 학습을 이어간다면 반드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모든 수험생 여러분의 노력이 결실을 맺기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대학입시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학년도 수능 정시 3,4등급 지원 가능대학 알아보기 (0) | 2025.09.21 |
---|---|
2025학년도 수능 정시 등급별(1,2등급)지원 가능 대학 알아보기(표준점수, 백분위 기반) (0) | 2025.09.20 |
2025/2026 경희대,국제캠퍼스 정시 등급컷, 정시모집 정보 (0) | 2025.09.17 |
2025/2026 중앙대 정시 등급컷, 정시모집 정보 (0) | 2025.09.16 |
2025/2026 한양대 정시 등급컷, 정시모집 정보 (1) | 2025.09.14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