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2026 고려대 세종캠퍼스 정시등급컷, 정시모집 정보
- 대학입시 관련
- 2025. 11. 26. 23:00
2026학년도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정시모집 핵심 정보와 전년도 등급컷 분석을 정리한 입시 전략 가이드입니다. 군별 특징, 전형 구조, 학과별 합격선 흐름까지 실전 지원에 필요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고려대 세종캠퍼스는 자연·공학 중심 특성화가 뚜렷한 대학으로, 매년 정시에서 학과별 합격선이 명확하게 갈리는 특징이 있습니다. 2025학년도 결과를 보면 약학·신약·반도체 등 이공계 최상위 전공이 높은 합격선을 유지했고, 중위권 공학·바이오 계열은 60점대 후반~70점대 초반에서 안정적인 구간이 형성됐습니다. 인문계열 역시 경영·경제·행정 계열이 지속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6 정시모집요강과 함께 전년도 등급컷 흐름을 기반으로 실제 지원에 도움이 될 정보를 정리했습니다. 성적대별 지원 범위를 가늠하려는 수험생에게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2026 고려대 세종캠퍼스 정시모집 정보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는 1980년 세종시 조치원에 설립된 고려대학교의 분교로, 과학기술·정보통신·바이오헬스·스마트모빌리티 분야를 중심으로 특성화한 첨단 교육·연구 중심 캠퍼스입니다. 반도체, 컴퓨터소프트웨어, 전자·기계융합, 바이오·헬스케어 등 산업 수요가 높은 학과들이 강세이며, 기업 현장에서 실무 적합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2025학년도 정시에서도 IT·AI·바이오 계열의 경쟁률이 특히 높았고 취업률도 자연·공학 기반 학과를 중심으로 우수해 수험생 선호도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2026학년도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정시모집은 대부분의 모집단위가 수능 100% 일괄합산 방식으로 선발하는 전형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전형 요소 반영 비율은 일반전형 기준 전 모집단위가 수능 100%이며, 국제스포츠학부만 수능 60% + 실기 40%를 반영합니다. 수능 영역별 반영비율은 국어 20%, 수학 35%, 영어 20%, 탐구 25%이며, 탐구는 변환표준점수 방식으로 2과목을 반영합니다. 한국사는 전 모집단위 필수 응시입니다. 자연계 일부 학과는 과탐 변환표준점수의 3%를 가산하며, 가산점 포함 탐구 총점이 최고점의 2배를 초과할 경우 탐구는 만점 처리됩니다. 성적 산출은 국어·수학 표준점수와 영어·탐구 변환표준점수를 합산하여 1,000점 만점으로 산출합니다. 동점자 선발 기준은 인문계는 국어–수학–탐구–영어, 자연계는 수학–국어–탐구–영어 순으로 적용합니다. 모집군은 가·나·다군으로 구분되며, 일반전형 기준 가군 103명, 나군 122명, 다군 169명 총 394명을 모집합니다. 모집인원은 수시 이월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원서접수 시 최종 확정 인원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모든 전형 간 복수지원은 가능하나 모집군별 1회만 지원할 수 있습니다.
정시 전형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서접수는 2025년 12월 29일(월) 10:00 ~ 12월 31일(수) 18:00,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서류 제출은 12월 29일(월) 10:00 ~ 2026년 1월 6일(화) 18:00이며, 실기고사는 2026년 1월 9일(금) 국제스포츠학부 지원자에 한해 실시됩니다. 합격자 발표는 2026년 2월 2일(월) 17:00, 등록 기간은 2월 3일(화)부터 2월 5일(목) 16:00까지입니다. 미등록 충원은 2월 6일(금)부터 2월 12일(목) 18:00까지 진행됩니다. 모든 일정은 학교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어 입학처 홈페이지 확인이 필수입니다.


2025 고려대 세종캠퍼스 정시등급컷
2025학년도 고려대 세종 정시 결과를 정리해보면, 자연계열 중심 캠퍼스라는 특징이 점수 구조에 그대로 반영됩니다. 약학과가 95점대 중반으로 가장 높게 형성됐고, 신약·반도체·신소재 등 이공계 핵심 전공군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중위권 전공은 60점대 후반~70점대 초반에서 넓게 분포하며 학과별 편차가 비교적 선명합니다. 인문계열 역시 경영·경제·행정 계열이 상위권을 유지했고, 기타 사회·문화 계열은 평균 60점대 후반~70점대 초반으로 보입니다. 전반적으로 수능 성적대별 지원 가능 구간이 뚜렷하게 나뉘는 구조입니다.
주요학과 국수탐 백분위 70%컷입니다. 약학과 95.83,첨단융합신약학과 78.83, 신소재화학과 72.50, 반도체물리학부 72.17,빅데이터사이언스학부 70.50, 미래모빌리티학과 70.00, 스마트도시학부 69.33, 식품생명공학과 68.83, 응용수리과학부 67.67, 인공지능사이버보안학과 67.67, 전자및정보공학과 67.33, 전자·기계융합공학과 66.50, 지능형반도체공학과 66.17,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 65.33, 디지털헬스케어공학과 62.83, 융합경영학부 73.83, 경제통계학부 73.50, 정부행정학부 71.83, 글로벌학부 70.83, 공공사회·통일외교학부 69.33입니다. 인문계열 평균은 69.96, 자연계열 75.50, 전체 평균은 73.72입니다.


정시 결과를 좀 더 세밀하게 보면, 올해 역시 “상위 학과 집중·중위권 완만” 구조가 유지됐습니다. 자연계는 약학·신약·반도체 계열이 높은 합격선을 만들며 최상위권을 분리했고, 컴퓨터·전자·바이오 계열은 60점대 후반~70점대 초반에서 현실적인 지원 점수대가 형성됐습니다. 인문계는 경영·경제·행정 계열이 안정적으로 상위권을 차지해 예년과 유사한 흐름을 보입니다. 지원전략은 군별 조합이 핵심입니다. 가·나군을 상향 또는 적정으로 구성한 뒤, 다군에서 안정권 학과를 확보하는 방식이 가장 실효적입니다. 자연계 수험생은 수학 선택과목 영향과 탐구 반영 방식, 가산점 유무를 세밀하게 따져야 하고, 인문계는 국어·수학의 균형이 당락에 직접적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세종캠퍼스는 모집군 분산이 크기 때문에 군별 전략 수립이 결과를 크게 좌우합니다. 모의지원 흐름과 실제 경쟁률 변동까지 참고하면 합격 가능성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고려대 세종 정시는 군별 구조가 분명하고 학과 간 점수대 차이가 뚜렷하여, 자신의 성적과 지원 전략을 정확히 맞춰가는 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자연계열은 최상위 전공과 중위권 전공 간 간격이 크기 때문에 상향·적정·안정 조합을 구체적으로 나누는 것이 유리하고, 인문계열은 국어·수학 중심 점수 흐름을 세밀하게 따지는 것이 합격 가능성을 높이는 핵심 포인트입니다. 전형요소가 복잡하지 않은 대학이지만, 군별 배치와 전공 선호도 변화는 해마다 차이가 있으므로 예년 경쟁률과 성적대 흐름을 함께 살피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올해 정시 준비 중인 모든 수험생이 흔들림 없이 끝까지 자신의 페이스를 유지하기를 바랍니다. 여러분의 노력이 좋은 결과로 이어지기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대학입시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2026 서울과학기술대 정시등급컷, 정시모집 정보 (0) | 2025.11.27 |
|---|---|
| 2025/2026 한국외국어대 글로벌캠퍼스 정시등급컷, 정시모집 정보 (0) | 2025.11.26 |
| 2025/2026 연세대 원주 미래 캠퍼스 정시등급컷, 정시모집 정보 (0) | 2025.11.26 |
| 2025/2026 한양대 에리카 정시등급컷, 정시모집 정보 (0) | 2025.11.25 |
| 2025/2026 충북대 정시등급컷, 정시모집 정보 (0) | 2025.11.24 |
이 글을 공유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