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2026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수시등급컷, 수시모집 정보

반응형

2026학년도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수시 입결을 최종 요약했습니다. 의학·공학계열의 압도적 우위와 함께 컴퓨터·반도체·AI 등 첨단 학과가 강세를 보이며 SKY 입시 지형을 재편하고 있습니다. 전통 강세 학과인 경영·정외·행정도 여전히 상위권을 차지하며 인문사회계열의 입지를 유지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SKY 입시 결과의 흐름과 합격 전략의 핵심을 정리합니다.

상위권 수험생들이 가장 주목하는 SKY 대학(서울대·연세대·고려대)의 수시모집 요강은 매년 큰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올해 수시모집의 특징은 ▲학교폭력 조치사항 전면 반영, ▲무전공·첨단학과 신설, ▲학생부종합전형 면접 확대 등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세 대학 모두 학생부교과·학생부종합·논술·특기자·고른기회 전형을 운영하면서, 모집 인원과 전형별 세부 조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서울대는 지역균형·일반전형 중심의 학종 선발 기조를 이어가며, 수능 최저를 적용하는 지역균형전형의 영향력이 크고, 연세대는 진리자유학부·모빌리티시스템전공 신설로 학과 선택의 폭을 넓혔습니다. 고려대는 교과·종합 전형 균형 유지와 첨단학과 증원이 주요 포인트입니다. 따라서 수험생들은 각 대학의 전형별 모집인원, 수능 최저학력기준 적용 여부, 전년도 대비 주요 변경사항을 꼼꼼히 확인해야 하며, 특히 중복지원 가능 여부와 전형 간 차별성을 고려해 본인에게 유리한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SKY 대학
SKY(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2026학년도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수시모집 전형 요약

서울대학교 주요 전형은 학생부종합(지역균형, 일반), 학생부종합(기회균형), 특기자이며, 지역균형은 수능 최저(국·수·영·탐 중 3개 합 7 이내) 적용, 교장 추천 필수입니다. 학종 비중 압도적 (전체의 70% 이상)입니다.

연세대학교 주요 전형은 학생부교과(추천형),학생부종합(활동우수형·국제형·기회균형), 논술, 특기자 전형입니다. 진리자유학부(무전공) 신설 – 인문·자연 통합 선발, 모빌리티시스템전공 신설 – 인공지능융합대학 소속, 활동우수형/국제형 2단계 평가 대상자 확대 (3배수 → 4배수) 등의 특징이 있습니다. 고려대학교 주요 전형은 교과(학교추천), 종합(학업우수·계열적합·기회균형), 논술, 특기자 등이며, 특징으로 첨단학과 증원 (데이터과학, AI 관련 학과 중심), 교과·종합의 균형적 운영입니다. 비중은 교과 40% 이상, 종합 40% 내외, 논술·특기자 유지입니다. 수능 최저 적용 여부를 보면 서울대는 지역균형 전형만 적용 (3합 7)하며, 연세대는 교과(추천형), 논술 적용 / 학종(활동우수·국제·기회균형), 특기자 미적용, 고려대: 교과(추천형), 논술 적용 / 학종 대부분 미적용입니다.

서울대 지역균형전형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전형 일정

2025학년도 수시등급컷, 입결 정리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전체 입결 흐름을 보면, 서울대는 특정 학과(심리, 영어영문, 언론정보 등)에서만 경쟁률 영향으로 컷이 상승하며, 전통적 ‘서울대 프리미엄’은 있으나 수치상 입결은 연세대가 더 높게 형성되는 추세입니다. 연세대는 경영, 경제, 정치외교, 전기전자, 화공, 의예, 약학 등 다수 학과에서 서울대·고려대보다 높은 컷을 형성하며 SKY 중 최상위 입결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고려대는 SKY 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합격선을 보이며, 안정 지원 학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이 보이지만, 일부 학과(경영, 정치외교)는 여전히 최상위권 경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5학년도 수시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주요학과 입결 비교를  보면, 인문·사회계열 기준 서울대는 경영(50% 1.73, 경쟁률 6.17:1), 경제(50% 1.84, 경쟁률 5.57:1), 연세대는 경영(1.22), 경제(1.37)로 세 대학 중 가장 낮은 컷입니다. 고려대는 경영(1.29), 경제(1.47)로 서울대보다 살짝 높습니다. 연세대 경영·경제 최상위권 집중도가 가장 높습니다. 정치외교·행정 입결을 보면, 서울대, 정치외교 1.73 / 행정 없음, 연세대, 정치외교 1.26, 행정 1.27, 고려대 정치외교 1.34, 행정 1.33, 심리·사회학 서울대 심리 1.90, 사회학 1.90, 연세대 심리 1.37, 사회학 1.58, 고려대 심리 1.44, 사회학 1.44입니다. 국어국문·영어영문·사학에서는 서울대 국문 1.77, 영문 2.02, 사학 2.22, 연세대 국문 1.40, 영문 1.33, 사학 1.43, 고려대 국문 1.48, 영문 1.52, 사학 1.54로 연세대 인문학 계열이 전반적으로 높습니다. 언론·미디어에서는 서울대 언론정보 1.41, 고려대 미디어학부 1.26. 연세대 언론홍보영상 1.16입니다. 자연계열 (이공계)을 살펴보면, 전기전자·기계·화공에서 서울대 전기 1.72, 기계 1.97, 화공 1.74, 연세대 전기 1.20, 기계 1.34, 화공 1.17, 고려대 전기 1.32, 기계 1.38, 화공 1.24, 수학 서울대 지역균형 1.17, 연세대 수학 1.24, 고려대: 수학 1.39, 의·약·간호 계열은 서울대 1.14 / 경쟁률 16.12:1, 연세대 1.00 / 경쟁률 10.20:1, 고려대 1.05 / 경쟁률 20.50:1, 약학과 서울대 1.53, 연세대 1.04, 간호학과 서울대, 2.02, 연세대, 1.44, 고려대 1.43입니다. 50% 컷기준입니다. 각 대학별 상위 입결 결과는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70%컷 기준입니다. 

서울대

1. 인문·사회계열

학과70%컷순위(계열)
경영학과 1.33
정치외교학부 1.35
경제학부 1.37
사회학과 1.39
심리학과 1.40
영어영문학과 1.45
국어국문학과 1.46
역사학과 1.48

인문사회 TOP3: 경영, 정외, 경제 (모두 1.3대 중반)

2. 자연과학계열

학과70%컷순위(계열)
수학부 1.33
물리천문학부 1.36
화학부 1.37
생명과학부 1.38
지구환경과학부 1.42
통계학과 1.39

자연 TOP3: 수학부, 물리천문, 화학부

3. 공학계열

학과70%컷순위(계열)
컴퓨터공학부 1.24
전기·정보공학부 1.29
기계공학부 1.33
화학생물공학부 1.34
재료공학부 1.35
건축학과 1.39

공학 TOP3: 컴퓨터, 전기정보, 기계 (모두 1.3 이내 → 전국 최상위 컷)

4. 의약·보건계열

학과70%컷순위(계열)
의예과 1.04
치의학과 1.17
약학계열 1.28
간호대학 1.40

 

  • 인문사회 최상위: 경영학과(1.33), 정치외교학부(1.35), 경제학부(1.37)
  • 자연과학 최상위: 수학부(1.33), 물리천문학부(1.36), 화학부(1.37)
  • 공학 최상위: 컴퓨터공학부(1.24), 전기정보공학부(1.29), 기계공학부(1.33)
  • 의약 최상위: 의예과(1.04 → 전국 최상위권)

연세대

 

1. 인문·사회계열

학과70%컷
경영학과 1.27
경제학부 1.46
정치외교학과 1.30
행정학과 1.30
심리학과 1.47
사회학과 1.64
국어국문학과 1.42
영어영문학과 1.36
사학과 1.49

👉 인문계 최상위는 경영(1.27), 정외/행정(1.30), 영문(1.36)

2. 자연과학계열

학과70%컷
수학과 1.24
물리학과 1.33
화학과 1.30
천문우주학과 1.34
대기과학과 1.46

👉 자연 최상위는 수학(1.24), 화학(1.30), 물리(1.33)

3. 공학계열

학과70%컷
시스템반도체공학과 1.20
첨단컴퓨팅학부 1.18
전기전자공학부 1.26
기계공학부 1.37
화공생명공학부 1.18
신소재공학부 1.27

👉 공학 최상위는 첨단컴퓨팅(1.18), 화공생명(1.18), 시스템반도체(1.20)

4. 의약·보건계열

학과70%컷
의예과 1.01
치의예과 1.11
약학과 1.04
간호학과 1.46

의약 최상위는 의예(1.01), 약학(1.04), 치의예(1.11)이며, SKY 중에서도 최상위권입니다.

  • 연세대 최고 입결 학과: 의예과(1.01), 약학(1.04), 시스템반도체(1.20), 첨단컴퓨팅(1.18)
  • 인문계에서는 **경영(1.27)**이 가장 높음.
  • 자연·공학계열은 **이공계 특성화 학과(컴퓨터·반도체·화공)**가 최상위로 집중.

 

 

 

 

 

 

 

 

고려대

인문·사회계열

순위학과70%컷
1 행정학과 1.35
2 정치외교학과 1.39
3 사회학과 1.47
4 경영대학 1.36
5 경제학과 1.52
6 통계학과 1.49
7 심리학부 1.48
8 국제학부 1.56
9 영어영문학과 1.54
10 국어국문학과 1.53
11 철학과 1.55
12 사학과 1.55
13 한국사학과 1.55
14 보건정책관리학부 1.58
15 교육학과 1.60
16 국어교육과 1.61
17 영어교육과 1.40
18 역사교육과 1.51
19 지리교육과 1.67
20 가정교육과 1.75
21 불어불문학과 1.65
22 중어중문학과 1.66
23 독어독문학과 1.66
24 서어서문학과 1.70
25 노어노문학과 1.70
26 일어일문학과 1.63
27 한문학과 1.62

 자연과학계열

순위학과70%컷
1 생명공학부 1.27
2 생명과학부 1.30
3 화학과 1.36
4 수학과 1.40
5 물리학과 1.50
6 지구환경과학과 1.49
7 통계학과 1.49

 

공학계열

순위학과70%컷
1 컴퓨터학과 1.26
2 화공생명공학과 1.28
3 전기전자공학부 1.34
4 인공지능학과 1.37
5 데이터과학과 1.39
6 산업경영공학부 1.39
7 융합에너지공학과 1.40
8 기계공학부 1.44
9 신소재공학부 1.43
10 건축학과 1.47
11 건축사회환경공학부 1.55

 

의학·보건계열

순위학과70%컷
1 의과대학 1.07
2 간호대학 1.49
3 보건환경융합과학부 1.36
4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1.28
5 바이오의공학부 1.41
6 보건정책관리학부 1.58

 

  • 최상위권: 의대(1.07), 컴퓨터(1.26), 생명·화공계열(1.27~1.30)
  • 인문사회 강세: 행정(1.35), 정외(1.39), 사회(1.47)
  • 공학 경쟁 치열: 컴퓨터, 전자, AI, 데이터, 기계 상위권 집중
  • 자연과학: 생명과학·화학 강세, 물리·지구환경은 다소 낮음
  • 보건계열: 간호도 1.49로 의학계열 중 비교적 높은 컷 유지

서울대·연세대·고려대의 2026학년도 수시 결과를 종합하면, 세 대학 모두에서 의학계열·컴퓨터공학계열이 최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서울대는 의예과와 치의학, 컴퓨터공학부, 경영대학이 최상위 컷을 형성하며 의학·이공·경영이 뚜렷하게 강세를 보였습니다. 연세대는 의예·치의예·약학계열이 압도적인 최상위권에 자리하고, 시스템반도체·컴퓨터·기계·전자 등 공학계열이 상위권을 형성했습니다. 고려대는 의과대학(1.07)과 함께 컴퓨터, 전자, 화공생명, AI·데이터과학 등 첨단학과가 인문계열보다 더 높은 입결을 기록했습니다. 인문사회계열에서는 전통적으로 인기 높은 경영, 정치외교, 행정, 사회학이 안정적으로 높은 성적대에 분포했지만, 최근 몇 년간 AI·반도체·의약학 계열의 약진이 두드러지며 자연·공학계열로 수험생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결국 SKY 입시 결과는 의학·공학 중심 구조가 공고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의학계열은 압도적인 최상위권(서울·연세·고려 모두 공통)
  • 공학계열은 AI, 컴퓨터, 반도체 관련 학과가 경쟁률·컷 모두 상승
  • 인문사회계열은 경영·정외·행정이 꾸준히 강세 유지 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